글로벌오토뉴스

상단배너

  • 검색
  • 시승기검색

인터뷰 - 국제전기자동차 르노삼성차 컨퍼런스

페이지 정보

글 : 채영석(webmaster@global-autonews.com)
승인 2014-03-16 13:59:03

본문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가 15일 오전 11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한라홀에서 개막식을 갖고 3월 21일까지의 일정을 시작했다. 르노삼성차는 성공적으로 제주도에서 SM3 전기차를 보급했다.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서 진행된 르노삼성차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오고 간 질의응답 내용을 정리한다.


Q1. 저탄소 협력금 제도에 대한 르노삼성의 입장은 어떠한지. 국내 완성차 업체들과 같이 도입이 늦춰지길 원하고 있는지?

A, (박동훈 부사장, 르노삼성 영업본부장) 아직 다른 자동차 업체들이 어떤 입장인지를 떠나서 오늘은 전기차의 날이기 때문에 전기차에 대해 왜 보조금이 필요한지를 먼저 말씀 드리겠다. 정부의 저탄소 협력금 제도는 결국 지금의 보조금 지원 방식이 바뀌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현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을 시장과 소비자에게 맡기게 되면 이는 언젠가 이뤄야 할 전기차 활성화를 지연시키는 것이다.

현재 친환경 정책을 위해 전기차 보조금 지원되고 있듯이 개발비용이 많이드는 전기차와 배터리 기술 발전을 위해 정부의 지원은 지속 되어야 한다. 르노삼성의 입장이라기 보다 반드시 이뤄야 할 친환경을 위해 정부와 국민차원에서 전기차 지원이 필요하다.


Q2. 전력품질이 전기차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가?

A. (손용석 상무, 르노삼성 전기차 개발 총괄) 한국의 전력 품질은 국제 표준에 맞춘 세계 최고 수준이다. 최근 일부 고객이 충전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는 대용량 전기를 사용하는 공장 주변에 있어서 품질 표준을 벗어난 경우였음. 품질이 좋지 않는 전력이 공급될 때, 고객의 안전을 위해 이중적으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를 장착했다. 해결 방안으로 소프트웨어를 수정했고 문제가 발생한 몇몇 고객의 차량을 해당 솔루션을 적용해 문제는 모두 해결되었다.


Q3. 올해 전기차 판매 목표를 점유율 60%라 발표했다. 최근 기아 쏘울이 출시되고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떤 경쟁 전략이 있는지? 르노의 다양한 차종을 들여올지? 부산공장 투자 규모를 늘릴 계획이 있으면 규모와 일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달라.

A. (박동훈 부사장, 르노삼성 영업본부장) 지금은 새로운 제품을 막 출시하기 시작한 시기임. 작년 11월부터 출시된 SM3 Z.E. 제품을 어떻게 시장에 정착시킬 지가 우선이다. 60% 점유 목표 배경은 SM3 Z.E.의 뛰어난 범용성임. 특히 택시 시장을 겨냥할 수 있는 월등한 경쟁력이 있다.

(벵상 까레, 르노 EV 세일즈, 마케팅 총괄) 부산공장에서는 르노의 플로언스 Z.E.와 같은 SM3 Z.E.을 생산한다. 부산에서 생산되는 SM3 Z.E.는 향후 내수를 포함한 르노그룹의 수출 중심으로 활용할 예정이다(수출 시점은 미정). 남미 시장을 위해서 부산 공장을 활용할 것이다. 남미에서 세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남미의 여러 국가로 수출할 계획이다.

부산 공장은 2015 르노의 전기차 목표에 중요할 역할을 차지함. 아시아와 남미의 수출 중심 기지가 될 것이다. 이후 홍콩과 싱가포르 등으로 SM3 Z.E.를 수출할 계획을 검토중이며, 그 다음 유럽으로까지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Q4. 퀵 드롭 방식이 이스라엘에서는 실패했다. 이 실패가 터키 공장의 플루언스 Z.E. 생산이 중단된 원인인지? 한국시장에서는 퀵 드롭 방식을 고수할 것인지?

(윤동훈 팀장, 르노삼성 EV영업팀)정확하게 말씀드리면 퀵 드롭 방식도 가져간다 것임. 다른 메이커처럼 완속, 급속 충전은 기본이며 퀵 드롭이 추가로 가능한 것이다.

유럽에서 퀵드롭 방식의 실패한 것은 각각의 국가의 상황에 따른 것이다. 제주에 이미 1개소 운영중이다. 제주는 동서남북 4개소와 중앙에 1개소, 총 5개소으 퀵드롭 센터를 운영하면 제주의 최장 185키로 되는 거리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

퀵드롭 방식의 이익을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곳이 택시이다. 현재 가장 빠른 급속충전도 25분에서 30분 걸리는데 택시에게는 큰 문제이다. 퀵 드롭은 5분이면 가능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게다가, 정부의 스마트 그리드 취지가 심야전기를 사용해 싼 가격으로 충전하고 전기료가 상대적으로 비싼 낮에 사용하는 것이다. 르노삼성의 퀵 드롭 방식이 스마트그리드 방향과 부합하고 있다.

Q5 터키공장에서 플루언스 Z.E. 생산이 중단된 것이 이스라엘의 퀵드롭 방식의 실패로 인한 것인지? 그것이 부산공장에서 SM3 Z.E. 추가 투자에 대해 영향을 미쳤는지?

(벵상 까레, 르노 EV 세일즈, 마케팅 총괄) 터키공장에서 플루언스 Z.E.가 생산되었던 것은 유럽의 시장을 겨냥한 것이었고, 부산에서의 수출은 남미, 동남아, 중국 시장의 전기차 시장 진출을 위해 이미 내부에서 오래 전부터 고려하고 있던 내용이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하단배너
우측배너(위)
우측배너(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