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가스의 차량이용에 대한 현황과 전망
페이지 정보
글 : 채영석(webmaster@global-autonews.com)
|
승인 2014-08-04 02:15:56 |
본문
1. 바이오가스의 현황
IEA의 세계 에너지 전망에 따르면 수송부문은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에 의해 96% 이상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수단으로 수송부분에서 규제적 정책인 신재생연료 의무혼합제도를 도입하여 바이오연료를 확대하고 있다. 그 중에서 바이오가스는 바이오가스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가 높고, 폐기자원을 100% 에너지화 하여 수송용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2. 국외 바이오메탄 생산 및 기술현황
국외의 바이오가스 에너지화는 유럽을 중심으로 기술개발 및 사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유럽 국가의 바이오가스 발생량 현황을 보면, 2009년에는 약 8,346 kTOE의 바이오가스가 발생하였다. 연도별 바이오가스 발생현황을 보면, 2007년 바이오가스 발생량이 2006년 대비 47%가 증가하여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바이오가스 고질화 플랜트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메탄은 압축/액화를 통해 수송연료로서 사용하거나 천연가스 배관망에 연계를 통해 천연가스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바이오가스 고질화 플랜트 현황을 보면 총 186개소 중 116개소가 천연가스배관망에 연계하여 바이오메탄을 공급하고 있고, 58개소는 수송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12개소는 천연가스 배관망 연계와 수송연료로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3. 국내 바이오메탄 생산 및 기술현황
3.1 바이오가스 생산현황
최근 국제적인 기후변화 협약의 가시화 및 유가의 급상승과 국내적으로 유기성폐자원의 매립 및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유기성폐자원의 자원화와 육상처리 대안으로 혐기성소화를 통한 감량화 및 에너지회수 기술 개발에 대하여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바이오매스의 이용은 가용 잠재량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가장 중요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중 유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는 그 보급과 성장이 가장 빠르게 실현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저탄소에너지 생산∙보급을 위한‘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실행계획을 발표하였다(2009. 7). 이 계획에 의하면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과 가축분뇨 자원화, 목재펠릿 및 해조류 이용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등을 통해 현재 국내 에너지 총 공급량 중 2.37%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13년까지 3.78%로 늘리기로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아울러 2020년에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비율 6.08% 중 4.16%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달성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3.2 기술개발 현황
국내의 바이오가스 이용기술은 소화조 가온 및 난방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것을 시작으로 발전과 열 회수가 동시에 가능한 열병합발전이 주를 이루어 왔다. 최근 들어 EU를 중심으로 바이오가스를 천연가스 대체연료로 활용하기 위해 차량연료화 또는 관망주입의 수준까지 정제하는 상업시설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4. 수송용 바이오메탄-CNG 혼합연료의 엔진 성능평가
바이오메탄-CNG 혼합연료의 버스엔진 성능평가 시스템은 크게 버스엔진부, 연료공급시스템부로 구성되어 있다. 버스엔진부는 엔진시험지그 설계 및 제작 및 엔진 전자제어장치(ECU,Electronic Control Unit) 연결 및 변경 등을 설치하였으며, 연료공급시스템부는 바이오메탄 혼합비율에 따른 바이오메탄-CNG 혼합연료의 공급시스템으로 연료공급장치 설계 및 설치, 가스누설 경보시스템 설치, 연료 공급라인 SUS 피팅 및 스텐드 제작 설치 및 연료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모두 구축하였다. CNG 연료와 바이오메탄 연료에 대한 각각 의 성능평가와 배출가스 성능평가를 통해 최적화 시켰으며, 이러한 최적화를 바탕으로 바이오메탄 연료 혼합비율(0, 50, 100%)에 다른 버스엔진의 배출특성을 평가하였다.
5. 결론
▶ 신재생연료 혼합의무제도(RFS) 도입 시 천연가스업계의 혼합 가능한 바이오연료로서 국내 폐자원을 활용하고 온실가스 저감차원에서 잠재성 매우 큰 연료로 평가된다.
▶ 국내 수송용 바이오가스에 대한 전주기분석 조사에서 바이오가스는 기존 화석연료에 비해 우수한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EU의 지속가능성 기준에도 충족한다. 수송용 차량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고질화(Upgrading)된 바이오메탄 연료는 차량 유해물질이 거의 제거되어 차량 부품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 수송용 바이오메탄 연료의 차량 공급라인의 고무재질에 대한 침지평가 결과,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 바이오메탄 혼합비율에 따른 바이오메탄-CNG 혼합연료의 버스엔진 배출가스 평가 결과, 바이오메탄은 CNG와 동등수준의 배출가스 특성을 보이며, 바이오메탄의 함량이 높을수록 배출가스 중 NOx는 저감되는 효과를 보인다.
IEA의 세계 에너지 전망에 따르면 수송부문은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에 의해 96% 이상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수단으로 수송부분에서 규제적 정책인 신재생연료 의무혼합제도를 도입하여 바이오연료를 확대하고 있다. 그 중에서 바이오가스는 바이오가스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가 높고, 폐기자원을 100% 에너지화 하여 수송용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2. 국외 바이오메탄 생산 및 기술현황
국외의 바이오가스 에너지화는 유럽을 중심으로 기술개발 및 사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유럽 국가의 바이오가스 발생량 현황을 보면, 2009년에는 약 8,346 kTOE의 바이오가스가 발생하였다. 연도별 바이오가스 발생현황을 보면, 2007년 바이오가스 발생량이 2006년 대비 47%가 증가하여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바이오가스 고질화 플랜트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메탄은 압축/액화를 통해 수송연료로서 사용하거나 천연가스 배관망에 연계를 통해 천연가스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바이오가스 고질화 플랜트 현황을 보면 총 186개소 중 116개소가 천연가스배관망에 연계하여 바이오메탄을 공급하고 있고, 58개소는 수송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12개소는 천연가스 배관망 연계와 수송연료로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3. 국내 바이오메탄 생산 및 기술현황
3.1 바이오가스 생산현황
최근 국제적인 기후변화 협약의 가시화 및 유가의 급상승과 국내적으로 유기성폐자원의 매립 및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유기성폐자원의 자원화와 육상처리 대안으로 혐기성소화를 통한 감량화 및 에너지회수 기술 개발에 대하여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바이오매스의 이용은 가용 잠재량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가장 중요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중 유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는 그 보급과 성장이 가장 빠르게 실현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저탄소에너지 생산∙보급을 위한‘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실행계획을 발표하였다(2009. 7). 이 계획에 의하면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과 가축분뇨 자원화, 목재펠릿 및 해조류 이용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등을 통해 현재 국내 에너지 총 공급량 중 2.37%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13년까지 3.78%로 늘리기로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아울러 2020년에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비율 6.08% 중 4.16%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달성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3.2 기술개발 현황
국내의 바이오가스 이용기술은 소화조 가온 및 난방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것을 시작으로 발전과 열 회수가 동시에 가능한 열병합발전이 주를 이루어 왔다. 최근 들어 EU를 중심으로 바이오가스를 천연가스 대체연료로 활용하기 위해 차량연료화 또는 관망주입의 수준까지 정제하는 상업시설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4. 수송용 바이오메탄-CNG 혼합연료의 엔진 성능평가
바이오메탄-CNG 혼합연료의 버스엔진 성능평가 시스템은 크게 버스엔진부, 연료공급시스템부로 구성되어 있다. 버스엔진부는 엔진시험지그 설계 및 제작 및 엔진 전자제어장치(ECU,Electronic Control Unit) 연결 및 변경 등을 설치하였으며, 연료공급시스템부는 바이오메탄 혼합비율에 따른 바이오메탄-CNG 혼합연료의 공급시스템으로 연료공급장치 설계 및 설치, 가스누설 경보시스템 설치, 연료 공급라인 SUS 피팅 및 스텐드 제작 설치 및 연료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모두 구축하였다. CNG 연료와 바이오메탄 연료에 대한 각각 의 성능평가와 배출가스 성능평가를 통해 최적화 시켰으며, 이러한 최적화를 바탕으로 바이오메탄 연료 혼합비율(0, 50, 100%)에 다른 버스엔진의 배출특성을 평가하였다.
5. 결론
▶ 신재생연료 혼합의무제도(RFS) 도입 시 천연가스업계의 혼합 가능한 바이오연료로서 국내 폐자원을 활용하고 온실가스 저감차원에서 잠재성 매우 큰 연료로 평가된다.
▶ 국내 수송용 바이오가스에 대한 전주기분석 조사에서 바이오가스는 기존 화석연료에 비해 우수한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EU의 지속가능성 기준에도 충족한다. 수송용 차량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고질화(Upgrading)된 바이오메탄 연료는 차량 유해물질이 거의 제거되어 차량 부품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 수송용 바이오메탄 연료의 차량 공급라인의 고무재질에 대한 침지평가 결과,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 바이오메탄 혼합비율에 따른 바이오메탄-CNG 혼합연료의 버스엔진 배출가스 평가 결과, 바이오메탄은 CNG와 동등수준의 배출가스 특성을 보이며, 바이오메탄의 함량이 높을수록 배출가스 중 NOx는 저감되는 효과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