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오토뉴스

상단배너

  • 검색
  • 시승기검색
ä ۷ιλƮ  ͼ  ī 󱳼 ڵδ ʱ ڵ 躴 ͽ ǽ ȣٱ Ÿ̾ Auto Journal  Productive Product

원유 가격 하락

페이지 정보

글 : desk(webmaster@global-autonews.com)
승인 2015-02-17 03:44:10

본문

국제 원유(Crude Oil) 가격이 달러 강세(Strong Dollar)와 글로벌 경기둔화(Economic Slowdown)에 따른 수요 감소 우려 등으로 하락하고 있다. 원유나 금 등 대부분의 원자재는 달러 가치에 직접 연관되어 있어 달러 가치가 높아지는 달러 강세가 되면 원자재 가격이 내려가는 것이 보통이다. 원유 가치가 그대로 있다고 가정하고 달러 가치가 올라가면 원유 가격이 내려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글 / 이대운 (한국자동차공학회 전회장)
출처 / 오토저널 2014년 11월호

 

최근 국제 유가가 4년 동안 최저 수준인 배럴당 80달러 초반까지 하락했으며 이에 따라 미국 가솔린 가격이 갤런당 3.08달러까지 하락했다고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위인 ℓ(liter)로 계산하면 가솔린 ℓ당 860원 정도가 된다. 우리 가솔린 가격이 ℓ당 1,800원 정도가 되어 미국보다 2배가 약간 넘는 수준이다. 그러나 80, 90년 대에는 우리 가솔린 가격이 미국 가솔린 가격에 비해 4배 정도 비쌌으니 미국 가솔린 가격이 그 동안 많이 오른 것이다.

 

원유의 공급(Supply) 측면을 보자. 세계에서 미국에 이어 4번째로 많은 원유를 생산하고 있는 석유 강국인 중동의 이란(Iran)은 자체 핵 개발을 저지하려는 미국과 선진국에 의해 오랜 동안 수출 금지(Embargo) 조치를 당했다. 이로 인해 경제가 매우 황폐해졌으며 근래에 들어 금지조치가 풀리면서 이란은 그 동안 어려워진 경제를 살리기 위해 엄청나게 많은 현금(Extreme Need for Cash)이 필요했다. 따라서 석유 생산을 최대로 늘리고자 최선을 다했으며 지금은 정상적인 생산량보다 많은 원유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리비아도 3년 전에 가다피(Gadaffi) 정부가 전복되면서 석유 시설이 커다란 피해(Damage)를 입어 생산량이 대폭 줄었으나 지금은 거의 복구되어 정상 가동이 되고 있다.

 

미국은 여전히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원유를 생산하고 있고 또한 가장 큰 석유 소비국이다. 세계 원유 생산의 20% 이상이 미국 1개 국가에서 소비되고 있다. 2005년에 미국은 필요한 석유 수요의 60%를 해외에서 수입해야만 했고 2014년에는 단지 30%만 수입하면 되었다. 미국 내 석유 생산량 증가와 석유 소비 절약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는 것이다.

 

셰일가스(Shale Gas)는 진흙이 퇴적하여 굳어진 암석층(Shale)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가스(Natural Gas)이다. 지금은 생산량이 대폭 늘어 미국 천연가스 생산량의 2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그 만큼 미국 원유 수입이 줄어드는 것이며 셰일가스는 유럽으로 수출되는 러시아 천연가스의 가격도 독점의 위치에서 벗어나게 하여 수출 가격을 낮추게 하고 있다. 그러나 셰일가스 채굴(Drilling)은 비용이 많이 들어 원유 배럴당 100달러 수준에서는 좋은 경제성을 가지고 있지만 80달러 초반에서는 경제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물론 채굴 기술의 발전과 함께 채굴 비용은 배럴당 60달러까지도 내려갈 수 있다고 한다.

 

수요(Demand) 측면에서 보면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은 석유를 소비하고 있는 나라가 미국의 반 정도를 소비하고 있는 중국이다. 중국이 경기 침체에 들어가면 석유 소비가 줄어 세계적 석유 수요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구나 중국은 미국 이상으로 엄청나게 많은 셰일가스 매장량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서 셰일가스 채굴 기술 발전과 함께 중국의 원유 수요가 계속해서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유럽이 경기 침체에 들어 가면서 독일, 프랑스에서도 산업 생산(Industrial Production)이 줄어 산업 생산에 꼭 필요한 석유 수요가 줄고 있다고 한다.

 

세계 3번째로 큰 석유 소비국인 일본의 경우를 보자. 2011년 3월에 발생했던 후쿠시마(Fukushima) 원자력발전소 사고는 엄청난 방사능을 누출한 대형 원자력 사고였다. 1986년 발생한 러시아 체르노빌(Chernobyl) 참사에 이은 2번째 대형 원자력 사고라고 한다. 그 후 일본 정부는 원자력발전소를 줄이고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소를 늘리는 것으로 정책을 바꾸었다. 그러나 최근에 아베(Abe) 정부는 화력발전소 대신에 아마도 강화된 새로운 안전 규제를 가지고 원자력발전소를 재가동(Reopening)하는 것으로 정책을 다시 바꾸려고 하고 있다. 일본의 석유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 에너지 비용이 엄청나게 늘어났으며 이는 가정이나 산업 등 경제 전분야에 걸쳐서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국내 소비 감소를 가져오고 세계 시장에서 일본 기업의 가격경쟁력을 약화시켜 일본 경제 회복을 어렵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원유 공급은 늘어나고, 세계 경기 둔화와 원자력발전소의 재가동 등으로 석유 수요가 줄어든다면 석유 가격은 내려갈 수 밖에 없다. 어떤 제품이라도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값은 내려갈 수 밖에 없지 않은가? 성장(Growth)이 정체되는 지금의 세계 경제가 다시 성장(Growth)으로 바뀔 때까지 일반적인 경제 주기(Economic Cycle)라고 말하는 3~4년 정도를 기다려야 한다면 너무 긴 시간이라고 생각해 본다. 성장을 위한 석유 수요 증가 시점을 기다려야 한다는 의미이다. 물론 테러 집단인 IS(Islamic State)를 포함해서 석유 종주국인 중동의 정치불안이 항상 상존해 있어 갑자기 공급이 대폭 줄어드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공급 불안으로 인해 원유가는 쉽게 달러당 100달러를 돌파할 수도 있다.

 

달러 대비 우리 원화 환율은 2008과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지나면서 달러당 1,050원과 1,200원 사이에서 오르락, 내리락 했지만 우리 외환 시장에서 심리적인 마지노선으로 생각한 달러당 1,000원 아래로는 내려가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 3월에 달러당 1,080원이었던 원화 환율은 3달 여 만에 70원이 내려 1,010원이 되었으니 6.6% 원화가치가 상승한 것이다. 원화 가치의 상승은 시장에 달러를 늘리는 미국의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 정책으로 인해 외국인 국내 투자가 늘어나 시중에 달러가 넘쳐나고, 우리나라가 계속해서 무역 흑자를 달성하고 있어 또한 달러가 넘쳐나니 달러 공급이 늘어나 달러 가치가 떨어진 것이다. 따라서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 통화 가치는 달러약세로 오를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기에 우리나라가 많은 달러를 보유하고는 있지만 마음대로 환율을 조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10월 28~29일 열릴 예정인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는 시장의 예상대로 양적 완화 정책이 종료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글로벌 시장, 특히 신흥국 시장에 투자되어 있던 달러가 신흥국을 벗어나서 미국 중앙은행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추가 달러 공급은 없으면서 글로벌 시장에 지역 통화(Local Currency)로 되어 있는 투자금이 달러로 환전해야 하니 달러 수요가 늘어나 달러 가치는 오를 수 밖에 없다.

 

요즈음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060원 정도에 있는 것은 달러 수요 증가에 의한 달러 강세에 기인한 것이다. 미국은 양적 완화 종료 후 2015년 하반기에는 금리 인상을 할 예정으로 있었다. 그러나 미국 경기가 글로벌 경기보다 회복세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완전한 회복세는 아닌 것으로 볼 수도 있어 양적 완화 종료 후 금리인상 시기는 예정보다 연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금리 인상 연기 가능성으로 인해 달러 수요가 주춤하여 달러 강세는 달러당 1,060원 근처에서 약간은 정체되어 있는 모습이다.

 

원유가가 내려가면 원유 수입에 엄청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우리나라에게는 정말 좋은 소식이다. 그러나 세계경기 침체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라면 수출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수출 물량 감소로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원유가가 적당한 수준에 있어야만 산유국도 살고 세계 경기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럴당 80달러 근처가 적절한 가격(Adequate Price)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원유 생산은 못하더라도 철저한 에너지 절감을 통해 석유 수요를 대폭 줄여야만 한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하단배너
우측배너(위)
우측배너(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