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오토뉴스

상단배너

  • 검색
  • 시승기검색
ä ۷ιλƮ  ͼ  ī 󱳼 ڵδ ʱ ڵ 躴 ͽ ǽ ȣٱ Ÿ̾ Auto Journal  Productive Product

[오토저널] LPG 자동차의 충전 노즐 표준화 동향

페이지 정보

글 : 오토저널(ksae@ksae.org)
승인 2016-09-01 14:30:37

본문

우리나라의 LPG 자동차 보급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아직도 택시를 비롯한 승용차에도 액상분사방식의 LPG 자동차가 보급되고 있으며 초기 LPG 자동차의 연료공급 방식은 액상에서 기상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가솔린 자동차에 기화기에 해당하는 믹서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기술들은 주로 일본의 기술을 전수받거나 국산화를 이루어서 보급하였고 연료충전장치도 국내 독자적인 개발로 LPG 충전소, 즉 인프라 확충에도 정부에서 앞장서서 서민을 위한 수송산업 확대를 추진해 왔다.

 

이러한 배경으로 국내에서는 괄목할 만한 기술 개발과 보급 정책 등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환경부에서는 배출가스 규제 강화와 더불어 디젤 자동차를 LPG 자동차로 구조 변경하여 매연을 줄이고자 하는 정책도 추진해왔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는 LPG 자동차의 보급률이 높고 최근 고유가로 인한 구조변경을 원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유럽에서도 에너지수급 정책이라든가 LPG 자동차의 보급을 정책적으로 유도하는 국가가 있으며 특히, 터키, 이탈리아, 그리스 등은 LPG 자동차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국가라고 볼 수 있으며 최근에는 독일도 가세하여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LPG 자동차의 충전탱크(일명 봄베)와 충전장치에 대한 국제 표준화 움직임이 일고 있는데, 유럽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거의 유사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서 이번에 새로 표준으로 제정하고자 하는 충전 노즐을 표준으로 제정시에는 향후 LPG 자동차의 수출을 비롯하여 충전 노즐을 제조하여 유럽의 CE인증을 비롯하여 국제적인 표준에 부합되는 제품을 개발 생산하여 유럽에 수출해야 하는 일종의 무역장벽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유럽의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고유의 충전노즐을 표준화에 반영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보며 향후에는 CNG(압축천연가스), HCNG(수소+압축천연가스) 자동차의 핵심요소부품에도 즉 대체연료자동차에도 국제적인 표준 제정을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국내 산업계 및 연구계를 비롯하여 정부에서도 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재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LPG 자동차의 핵심요소 부품 중 충전 노즐에 대한 각국의 표준 대응 및 방향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의 표준 대응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LPG 자동차의 충전 노즐 및 탱크 구조 규격

 

● LPG 탱크의 구조 비교

우리나라의 LPG 자동차에 사용되는 탱크를 보변 일반적으로 〈그림 1〉과 같이 2개의 형태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차량의 연비 향상과 임시타이어의 적재 공간에 도넛 형태로 봄베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국내 고압가스 안전용기의 안전검사 즉 인증을 통과한 제품만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세한 코드는 KGS FU434에 관련 안전기준 및 시설 등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5-518호).

 

〈표 1〉은 국내 자동차회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봄베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그림 1〉은 트렁크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형태를, 〈그림 2〉는 해외 자동차회사의 봄베 장착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에서 알 수 있듯이 유럽 회사에서는 주로 도넛 형태의 봄베를 우리나라의 경우도 점점 도넛 형태로 적용하는 동향이 늘어나고 있으나 이 또한 지작재산권의 문제가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79642f7435c2e72909d0543006691c01_1472707

79642f7435c2e72909d0543006691c01_1472707

 

● 충전 노즐 규격 비교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럽에서도 LPG 자동차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충전 노즐의 표준화를 위한 움직임이 있어서 국내 규격과 ISO에서 표준화로 추진하려는 충전 노즐을 비교한 것이 〈그림 3〉과 〈그림 4〉이다.

 

79642f7435c2e72909d0543006691c01_1472707
 

국내에서도 KGS AA234에 충전 커플러에 대한 안전 규격이 제정 고시되어 있으며 2014년도에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4-589호로 고시되어 있다.

 

79642f7435c2e72909d0543006691c01_1472707
 

〈그림 4〉는 ISO TC 22/SC 25/WG 6에서 논의되고 있는 충전 노즐(LPG Refueling connector)에 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국제 표준기구인 ISO에서는 〈그림 4〉와 같은 2가지의 방식을 가지고 국제적으로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어서 각국에서는 이에 대한 적용여부를 확정하고자 하는 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에서도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을 가지고 있다.

 

즉, 국제표준기구에서 표준으로 제정하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의 경우 기존의 방식과 상이하여 신규로 개발하여 인증 또는 제품 평가 등 시험을 실시해야 하고 인증을 받아야 할 것으로 본다. 이로 인한 관련 산업분야는 이중고를 격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유럽으로 수출을 할 경우에는 이중고를 겪게 될 전망이며 완성차 제작회사도 국제표준을 따라야 하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LPG협회를 비롯하여 일본, 미국, 스위스, 이탈리아, 프랑스 등에서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충전 노즐의 단일화 방향에 대하여 의견 조율을 하고는 있지만 일본과 우리나라같이 그 심각성을 갖고 있지는 않는 것 같다.

 

● 표준화에 대한 각국의 반응

ISO(국제표준화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는 2014년 9월부터 세계 LPG 자동차의 커넥터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였으며 현재 세계에는 총 6개의 타입이 통용되고 있는데, 충전 불편 및 사고위험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2가지로 통일하고자 하는 의견조율이 진행되고 있다.

 

① EURO : 중대형용, EN13760과 UN/ECE Reg. Nr 67-01 Annex 9

 

② (신규) 소형 커넥터 : Bi-fuel LPG 자동차용, 이탈리아 Fiat 개발

 

이 중 소형 커넥터는 신규 모델로서, 일본·한국의 충전 커넥터와 호환이 불가능한 형태로, 이 모델로 표준화할 경우, 일본·한국 제품의 해외 수출에 제한이 될 수 있으며, 국내 충전시스템이 2가지 타입(신/구)으로 공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일본LPG협회는 일본·한국의 충전커넥터도 표준화에 포함시켜야 한다며, 한국과의 공동 활동을 요청하고 있다.

 

 

79642f7435c2e72909d0543006691c01_1472707

 

〈그림 5〉는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충전 커넥터의 형상을 비교한 것이며 〈그림 6>은 유럽과 국내의 충전 노즐 형상을 비교한 것으로서 일본과 공조하여 우리나라의 경우도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다는 것을 국제표준 무대에서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 당연히 필요하다고 본다.

 

일본의 경우는 일본·한국·동남아시아가 현재 쓰고 있는 타입의 우수성을 언급하며, ISO 기준에 일본 타입 포함의 필요성 주장하고 있으며 ISO가 주장하는 타입으로 통일화할 경우, 일본·한국 등은 기존 자동차와 충전소 시스템을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 소요 및 산업 위축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79642f7435c2e72909d0543006691c01_1472707
 

자동차사(도요타)와 논의한 결과, 자동차의 충전구만 단순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압력 변화에 따른 노즐, 압력 조정기등의 시스템의 Modification이 필요하고 충전소 또한 노즐, 저장탱크 등의 시스템 교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유럽 국가에서는 중립적인 입장으로 한국과 일본의 충전 커넥터도 안전성이 뛰어나고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표준화에 같이 검토할 가치는 있다고 의견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공식적인 의견이 아니여서 향후 각국의 반응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최근 LPG 자동차의 충전 노즐(또는 충전 커넥터)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으로 제품을 규격화하려는 우려가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한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에서는 심각한 반응을 일으키고 있으며 유럽에서 제안하는 방식으로 표준 규격이 될 경우 우리나라와 일본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많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자동차 회사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분야에도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회의에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충전노즐에 대해서 대한LPG협회가 발 벗고 나서서 대응책 마련 및 국내제품의 국제 표준화 제안 등에 대한 방안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으나 정부 및 관련 산업체에서도 큰 관심을 가지고 국제 표준대응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에는 LPG 자동차 뿐만 아니라 대체연료자동차인 CNG, LNG, HCNG, DME 자동차의 연료계통 등에 대한 국제 표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추진 기구 구축이 필요하며 정부에서도 큰 관심을 가지고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하여 국내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지속적인 지원과 표준동향 분석 검토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글 / 나완용 (신성대학교)

출처 / 오토저널 16년 1월호 (http://www.ksae.or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하단배너
우측배너(위)
우측배너(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