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오토뉴스

상단배너

  • 검색
  • 시승기검색

2024 부산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되는 신차 & 컨셉카

페이지 정보

글 : 원선웅(mono@global-autonews.com)
승인 2024-06-25 21:13:51

본문

2024 부산모빌리티쇼’가 6월 27일 프레스데이를 시작으로 7월 7일까지‘넥스트 모빌리티 세상의 중심이 되다’를 주제로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2년 만에 개최되는 부산모빌리티쇼는 기존 부산국제모터쇼에서 행사명을 변경하고, 지역산업 기반의 모터쇼로 거듭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참가업체는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 르노코리아, 그리고 수입차 업체로는 유일하게 BMW그룹코리아 (BMW, MINI, BMW 모터라드)가 참여한다.  

 

이번 부산모빌리티쇼를 통해 공개되는 국내외 신차와 컨셉카를 정리해 소개한다.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92e3e721c54a03741adcc31a84a23eb8_1719317
 

현대자동차는 최근 자사의 첫 전기 경차 '캐스퍼 일렉트릭(CASPER Electric)'의 티저 이미지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티저 이미지에서는 기존 캐스퍼의 단단한 실루엣을 유지하면서도 전동화된 디자인 요소를 추가하여 한층 세련된 외관을 선보였다​. 

 

캐스퍼 일렉트릭은 1회 충전으로 최대 315km를 주행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소형 전기차와 비교해 상당히 긴 주행거리로, 현대차는 이를 통해 전기차 대중화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픽셀 그래픽이 적용된 전면부 턴시그널과 면발광 주간주행등(DRL), 후면부의 테일&스탑 램프 등 미래지향적인 디자인 요소가 특징이다​

 

광주글로벌모터스(GGM)에서 생산 중인 캐스퍼 일렉트릭은 유럽 시장에도 출시될 예정이며, 피아트 500e, 폭스바겐 e-업! 등의 모델과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디자인 변경 사항으로는 새로운 충전 포트, 확대된 센터 디스플레이, 디지털 계기판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캐스퍼 일렉트릭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 

 

제네시스 네오룬 컨셉

92e3e721c54a03741adcc31a84a23eb8_1719317
 

제네시스 브랜드가 대형 전기 SUV 컨셉 '네오룬'을 공개한다. GV90 전기차를 미리 엿볼 수 있는 컨셉카다.

 

네오룬은 불필요한 요소를 최소화하는 '환원주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고급스러움과 새로움을 동시에 표현했다. 자동차 앞뒤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B필러가 없고, 앞문과 뒷문이 서로 마주 보며 열리는 'B필러리스 코치도어'가 대표적이다. B필러리스 코치도어를 비롯해 긴 휠베이스로 탁 트인 개방감을 느낄 수 있어 편안하고 안락한 실내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특히 2열에는 온돌에서 영감을 받은 복사열 난방 시스템이 적용되 더 쾌적한 실내 환경과 소비전력도 낮췄다.  

 

E-GMP에 이은 2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M이 적용될 예정이며, 5세대 NCM 배터리와 효율성과 출력을 끌어올린 신형 모터가 조합될 예정이다. 주행거리 700~800km 수준을 목표로 개발 중이며, 울산 EV 신공장 가동이 시작되는 2026년 출시될 예정이다. 

 

 

기아 타스만 위장막 모델

92e3e721c54a03741adcc31a84a23eb8_1719317
 

기아는 브랜드 첫 픽업트럭 모델인 타스만의 위장막 모델을 부산모빌리티쇼를 통해 처음 공개한다. 기아는 호주ᆞ뉴질랜드의 유명 아티스트 리처드 보이드 던롭과 협업해 타스만의 위장막 디자인을 개발했다.

 

기아 타스만의 제원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2025년 내연기관 모델을 출시하고 2026년에는 전기 픽업트럭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기아는 타스만을 2025년 한국, 호주, 아중동 등 시장에서 순차적으로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KG모빌리티 전기 픽업트럭 O100 (코드명)등과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KG모빌리티는 O100을 올해 하반기부터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르노 오로라1 프로젝트 

92e3e721c54a03741adcc31a84a23eb8_1719317
 

르노코리아는 오는 6월 27일부터 7월 7일까지 개최되는 2024 부산모빌리티쇼에서 신형 하이브리드 중형 SUV '오로라1'(프로젝트명)을 처음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공개는 르노코리아가 4년 만에 선보이는 신차이다. 사진은 오로라1의 베이스 모델인 지리 싱유에.

 

오로라1은 르노그룹과 지리그룹의 합작으로 개발된 차량으로, 볼보의 CMA(Compact Modular Architecture)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이 플랫폼은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이 특징이다. 또한, 르노의 최신 E-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탑재되어 우수한 연비와 동력 성능을 제공한다. 

 

전면부 헤드램프는 수평형으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내부는 디지털 계기판과 센터 디스플레이가 ㄱ자 형태로 배치되어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 또한, 고속도로 주행 보조, 휴대폰 무선 충전 패드, 사각지대 경고 등 다양한 첨단 편의 및 안전 사양이 탑재될 예정이다.

 

르노코리아는 이번 모빌리티쇼에서 신차 공개뿐만 아니라, 대규모 세일즈 어드바이저 모집을 통해 판매 네트워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는 부산모빌리티쇼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보인다. 

 

르노 세닉 E-TECH

92e3e721c54a03741adcc31a84a23eb8_1719317
 

르노코리아는 새로운 순수 전기차 '세닉 E-TECH'를 공개할 예정이다. 세닉 E-TECH는 2024년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된 바 있어 국내에서도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세닉 E-TECH는 르노의 최신 전기차 기술이 집약된 모델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르노의 E-테크(E-Tech) 기술을 탑재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높은 주행 성능이 특징이다. 디자인 측면에서 르노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이 반영되었으며, 세련된 외관과 함께 넓은 실내 공간, 디지털 계기판 및 첨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적용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BMW M4

92e3e721c54a03741adcc31a84a23eb8_1719317
 

BMW의 신형 M4는 4년 만에 부분 변경을 거친 모델로, 모터스포츠 유전자를 더욱 강조하며, 최대 출력이 15kW(20마력) 증가한 것이 특징DL다. BMW M4 컴페티션 쿠페와 BMW M4 컴페티션 컨버터블은 새로운 헤드라이트, 레이저 테일라이트, 새롭게 디자인된 M 단조 경합금 휠, 스티어링 휠 및 내부 트림, BMW 운영 체제 8.5를 도입해 더욱 발전된 모습을 선보인다.

 

M 트윈파워 터보 기술이 적용된 직렬 6기통 엔진은 세 가지 성능 레벨로 제공된다. 경쟁 모델에서는 유례가 없는 353kW(480마력) 출력의 엔진과 6단 수동 변속기가 신형 BMW M4 쿠페에 탑재된다. BMW M4 컴페티션 쿠페의 파워 유닛은 최대 출력 375kW(510마력)를 발휘하며, 8단 M 스텝트로닉 변속기와 드라이브로직이 결합된다. 또한, 쿠페와 컨버터블의 사륜구동 변형 모델에 탑재된 M xDrive와 결합하여 530마력으로 출력이 증가했다. 

 

신형 BMW M4 쿠페와 BMW M4 컨버터블은 BMW 그룹 딩골핑 공장에서 생산되며, 2024년 3월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전 세계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이번 부산모빌리티쇼를 통해 처음 국내에도 공개된다. 

 

BMW iX2

92e3e721c54a03741adcc31a84a23eb8_1719317
 

국내에도 출시된 신형 X2의 전기차 버전인 iX2가 부산모빌리티쇼를 통해 공개된다. 5세대의 BMW eDrive 기술을 탑재한 iX2는 먼저 xDrive30 모델이 출시되었다. 전후륜에 각각 1개의 모터가 탑재되었으며, 4륜 구동이 기본 적용된다. 최고출력 313hp, 최대토크 50.4kgm의 성능을 발휘하며, 0~100km/h 가속시간 5.6초, 최고속도 180km/h에 이른다.

 

iX2에는 64.8kWh 용량 배터리가 적용되어 WLTP 기준 최대 449km를 주행할 수 있다. 배터리 10->80% 충전까지 약 29분이 걸린다. 11kW급 완속 충전 사용시 배터리 0->100%까지 약 7시간이 소요된다. iX2는 회생 제동,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이 기본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하단배너
우측배너(위)
우측배너(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