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오토뉴스

상단배너

  • 검색
  • 시승기검색

기아 쏘울, 강한 독창성을 살릴 수 있는 전략 필요

페이지 정보

글 : 채영석(webmaster@global-autonews.com)
승인 2013-12-20 00:50:04

본문

쏘울은 커스텀카를 지향하는 모델이다. 1세대 모델은 기획 단계부터는 아니지만 오늘날 현대기아의 디자인 경영의 시초를 다진 피터 슈라이어 사장의 손길이 갔었다. 무엇보다 강한 독창성으로 인해 폭스바겐 비틀이나 아우디 TT, BMW 미니, 닛산 쥬크 등과 같은 이미지 리더로서의 역할을 기대했었다. 데뷔 당시 워낙에 강한 개성으로 세간의 이목을 끌었고 많은 이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글 / 채영석 (글로벌오토뉴스국장)

2세대 모델도 컨셉은 그대로다. 강한 아이덴티티로 통상적으로 만인이 좋아하는 차여서는 안된다는 전제가 있다. 스포트라이트를 받아야 하고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려야 한다. 선호가 뚜렷할수록 더 큰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좋은 평가도 필요하겠지만 안티도 있어야 한다.

이런 모델들은 모델체인지시 고민이 있다. 2세대 쏘울도 관심을 갖지 않은 유저라면 1세대와 구분이 쉽지 않다. 앞서 언급한 모델들이 모두 그렇다. 그런 한계를 잘 극복하고 가장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모델이 BMW 그룹의 미니다. 미니는 해치백으로 시작했으나 지금은 쿠페와 컨버터블, 로드스터, CUV 등 무려 일곱가지 차체 베리에이션이 있다.

뿐만 아니라 차체 컬러와 인테리어 컬러, 시트 컬러 등 가능한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해 커스텀카로서의 궁극을 보여 주고 있다. 현재 미니는 1만 5천 가지의 조합이 가능하다고 한다. 연간 글로벌 판매대수 30만대가 조금 넘는데 이렇게 다양한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은 나만의 미니를 만들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희소성으로 표현되는 이런 점이 프리미엄의 조건이다. 미니 다음으로 그런 전략을 잘 구사하고 있는 모델은 최근 국내에 상륙한 닛산 쥬크를 들 수 있다.

기아 쏘울이 처음 등장했을 때 그런 라인업 전략을 기대했었다. 그러나 수년 동안 별 다른 변화없이 5년 만에 2세대 모델이 등장했다. 사전 품평회에서 만났을 때 1세대 모델과 구분이 쉽지 않다는 생각이 선뜻 들었었다. 그것이 아쉬운 대목이다. 프리미엄 브랜드인 미니와 같은 다양성은 기대할 수 없을지라도 개성을 살린 가지치기 모델들을 볼 수 없었던 전략의 부재는 너무 많은 모델들을 쏟아 내느라 정신이 없었던 한계일 수도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브랜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던 것이다.

또한 찬반 논란에 익숙치 못한 사회적 분위기도 한 몫을 했을 듯 싶다. BMW는 21세기 초 5세대 7시리즈를 통해 세인들을 놀라게 했다. BMW 마니아들은 격앙하기도 했었다. 동시에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이제는 많은 메이커들이 BMW 7에서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라인과 디테일을 그들의 모델에 부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어색했던 라인과 면이 시간이 지나면서 익숙해 졌다. 그것이 프리미엄 브랜드의 힘이다.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브랜드의 재생 및 신분 상승을 한 예는 많다. 20세기 후반 폭스바겐의 뉴 비틀과 아우디의 TT가 대표적인 예이다. 폭스바겐 뉴 비틀을 1999년년 처음 디트로이트쇼장에서 보고 필자는 의아해 했던 기억이 있다. 페르디난트 포르쉐 박사에 의한 비틀이 사상 최초로 2,000만대 이상 판매되는 역사적인 모델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레트로 모델로 어떤 효과를 노린다는 것일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하지만 그 뉴 비틀은 독일보다 미국에서 더 많은 시선을 집중시키며 폭스바겐에 대한 이미지를 바꾸어 놓았다.

아우디 TT도 마찬가지이다. 뉴 비틀과 같은 원을 주제로 한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TT는 오늘날 ‘가장 아름다운 차’로 선정되고 있는 아우디 디자인의 뿌리의 역할을 했다. 아우디는 TT의 등장과 함께 그때까지 강조해 온 ‘기술을 통한 진보’를 바탕으로 매력적인 디자인을 가진 브랜드로 프리미엄성을 한 단계 높여 BMW, 메르세스 벤츠, 재규어 등과 함께 세계 4대 프리미엄 브랜드로 격상해 지금은 메르세데스 벤츠까지 추월했다.

양산 브랜드이면서도 그런 전략을 이해하고 모델을 키워 가고 있는 가까운 예가 닛산 쥬크다. 쥬크는 방법론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모델 라인업 구성에서 실험적인 면들이 보인다. 퍼포먼스 에디션 쥬크 니스모를 비롯해 쥬크-R이 있고 테크놀러지 에디션에 쥬크 n-tec, 스타일 에디션에 쥬크 쿠로 에디션과 쥬크 시로 에디션, 쥬크 미니스트리 오브 사운드, 다크 나이트 라이즈 쥬크 니스모 등이 있다. 커스텀카로서 희소성을 충족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미니의 그것과 유사하다.

기아 쏘울도 충분히 그런 라인업 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상품성과 아이디어를 보여 주고 있다. 실행 의지와 사고의 연속성이 있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것이 프리미엄 마인드다.

1세대 쏘울이 등장했을 때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의 모터쇼에서도 이미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었다. 그에 비하면 실적은 실망스럽다. 판매대수 이야기가 아니라 제품의 이미지가 잊혀졌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쏘울은 기아의 이미지를 바꿀 수 있는 전략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소비자들로부터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지속성, 일관성 등의 전략이 수반되어야 가능하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하단배너
우측배너(위)
우측배너(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