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오토뉴스

상단배너

  • 검색
  • 시승기검색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니오, FAW 그룹과 배터리 교환 협력 협정 체결

페이지 정보

글 : 원선웅(mono@global-autonews.com) ㅣ 사진 : 원선웅(mono@global-autonews.com)  
승인 2024-05-27 11:40:53

본문

중국의 전기차 스타트업 니오(Nio)가 국영 자동차 제조업체인 FAW 그룹과 배터리 교환 협력 협정을 체결하여 배터리 교환 동맹을 확장했다.

 

양측은 배터리 기술 표준, 충전 및 교환 가능한 배터리 차량 모델의 연구 개발, 배터리 관리, 운영 및 충전 인프라 개발 전반에 걸쳐 협력할 예정이다.

 

FAW는 니오와 배터리 교환 협정을 맺은 일곱 번째 자동차 제조업체로, 지난 5월 초 광저우자동차그룹(GAC)과의 유사한 협정에 이어 2023년 지리(Geely)와 창안(Changan)과의 협정이 있었다.

 

니오는 또한 배터리 교환 생태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중국석유화공그룹(Sinopec),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 및 중국남방전력망과 같은 에너지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4월 상반기에 신에너지차(NEV) 판매량이 전체 판매량의 절반을 넘었지만, 불충분한 충전 인프라와 같은 문제는 여전히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전통적인 충전소를 넘어 배터리 교환을 보완적인 에너지 보충 옵션으로 탐구하고 있다고 업계 전문가들은 전했다.

 

배터리 교환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몇 분 만에 빈 배터리를 완전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니오는 곧 출시될 3세대 교환소가 이 과정을 3분 만에 완료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배터리 교환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배터리를 유지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어, 전기차의 전체 비용 중 약 40%를 차지하는 가장 비싼 부품인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법정 8년 또는 12만 킬로미터 배터리 보증 기준에 따르면, 향후 8년 동안 약 2천만 대의 NEV가 배터리 보증 만료에 직면하게 될 것이며, 배터리 교체 비용은 27,600달러(약 200만 위안)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교환은 높은 투자 비용, 복잡한 건설, 표준화된 교환 프로토콜의 부재로 인해 채택이 지연되는 등 도전에 직면해 있다.

 

니오는 배터리 교환 및 충전소 모두에 대한 EV 인프라에 크게 베팅하고 있다. 5월 21일 기준으로 니오는 전국적으로 2,420개의 배터리 교환소를 설립했으며, 4,450만 건 이상의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했다.

 

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니오의 1세대 또는 2세대 배터리 교환소 건설 비용은 150만에서 300만 위안에 달한다.

 

니오의 CEO인 윌리엄 리는 배터리 교환소가 하루에 60회 교환을 처리해야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회사는 사용자 기반이 현재의 50만 대에서 100배 성장하면 배터리 교환 서비스로 연간 100억 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니오는 2023년부터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대중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배터리 교환 동맹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리 CEO는 니오의 배터리 교환 네트워크를 널리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인 아마존 웹 서비스(AWS)에 비유하며, 네트워크 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를 강조했다. 더 많은 교환소와 파트너가 늘어남에 따라 강력한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다.

 

협력적인 동맹은 배터리 교환 생태계 개발에 매우 중요하며, 이는 다양한 브랜드가 교환소를 공유할 수 있게 하여 EV의 호환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참여하는 모든 자동차 제조업체에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업계 전문가들은 전했다.

 

카이위안 증권은 2025년까지 중국의 배터리 교환 산업 체인의 시장 규모가 1,334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동방 증권은 2025년까지 국내 배터리 교환 EV 모델이 전체 EV 모델의 3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외부에서는 푸조부터 마세라티에 이르는 브랜드를 소유한 스텔란티스(Stellantis)도 이 기술을 고려하고 있다. 스텔란티스는 작년 12월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앰플(Ample)과의 계약을 통해 올해 스페인에 이 기술을 통합할 계획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하단배너
우측배너(위)
우측배너(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