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19.12.06 금 01:30
Home
무료 뉴스레터 신청
채영석 약력
이메일 주소 :
뉴스
시승기
브랜드와 마케팅
파워트레인
모빌리티
칼럼
스페셜이슈
모터쇼
자유게시판
검색
기사검색
검색어
필수
기사검색
시승기검색
시승기검색
| 완성차뉴스
| 부품용품
| 모터스포츠
| 뉴모델
| 프리뷰
| 스파이샷
| 영상뉴스
| 차이나뉴스
| 인터뷰
| Gasoline/Diesel
| HEV
| BEV
| FCEV
| Alternative Energy
| Safety
| Connectivity
| Autonomous Driving
| Shared & Services
| Auto Journal
브랜드별 시승기 검색
close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기아자동차
쉐보레
지엠
르노
쌍용자동차
DS
BMW
벤츠
폭스바겐
아우디
토요타
닛산
닷지
렉서스
람보르기니
로터스
링컨
마세라티
마이바흐
마쓰다
미니
미쓰비시
벤틀리
볼보
롤스로이스
스바루
스마트
시트로엥
인피니티
재규어
지프
캐딜락
크라이슬러
포드
포르쉐
푸조
혼다
어큐라
피아트
랜드로버
페라리
알파로메오
테슬라
HOME
>
칼럼
>
전영선의 슈퍼카열전
40년간 방대한 문헌과 사진자료를 토대로 자동차문화 전반에 관한 조사/연구/분석/저술/방송/강의를 통해 우리나라 자동차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한국자동차문화연구소 전영선소장의 자동차 이야기 코너입니다.
Total 835건
1 페이지
모던 미니밴의 첫 주자는 오일쇼크로 탄생한 미국의 캐러밴
모던 미니밴의 첫 주자는 오일쇼크로 탄생한 미국의 캐러밴
◉ 첫 양산 차는 피아트 멀티프라(Fiat 600 Multipla, 1956)1956년 두 번째 원 박스 미니밴인 피아트 멀티플라가 등장했다. 600cc엔진을 얹은 세이첸토 600의 프렛폼을 기본으로 피아트의 수석 디자이너인 단테 지아코사(Dante Giacosa)가 디자인했다. 지아코사는 30년대 등장한 1세대 첸퀘첸토..
2019-12-03
진짜 첫 미니밴 1935년생 스카랩
진짜 첫 미니밴 1935년생 스카랩
* 1935년 스타웃 스카랩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소형 1.5 박스 카가 유행하고 있다. 유럽시장에서는 ‘르노 세닉’을 선두로 ‘피아트 멀티플라’, ‘시트로엥 사라 피카소’, ‘벤츠 B 클래스’등이, 그리고 한국에서도 1.5 박스형 미니밴을 현대와 쌍용이 출시하는 등 세계 자동차 생산 대국들은 앞 다투어 1.5박..
2019-11-26
다용도형 캐러밴의 아우인 미니 밴
다용도형 캐러밴의 아우인 미니 밴
*1936년 스타우트 스카랩미니 밴은 스테이션 왜건보다 더 많은 승객과 수화물을 함께 수송하는 객, 화물 소형 승용차이다. 세단형 스테이션 왜건이 발전한 것으로서 미국의 자동차 분류인데, 2열 또는 3열 구성이 가능한 좌석을 갖춘 1∼1.5 박스형 밴이다. 영국에서는 MPV(Multi-purpose Vehicle ; 다용..
2019-11-18
밴(Van)의 역사는 1670년대부터
밴(Van)의 역사는 1670년대부터
* 1855년 크리미아 전쟁의 군용 밴 밴(Van)의 역사는 화물 수송용이 먼저이고 여기에 승객 수송을 접목한 것이 다음이다. 화물 수송용 밴은 크게 나누어 4가지로 발전했다. 가장 큰 트레일러 밴(Trailer van)은 바퀴가 달린 여러개의 콘테이너 형 무동력 밴을 앞에서 트럭이나 트랙터가 끌고 가는 것이다...
2019-11-11
엔진도사가 유행시킨 50∼60년대 명물 합승택시
엔진도사가 유행시킨 50∼60년대 명물 합승택시
* 1956년 김영삼이 6기통 엔진으로 만는 국산 승합 택시 1955년 국산 차 1호인 ‘시발’의 엔진을 만들어 크게 공헌한 한국 자동차 엔진 기술자 1호인 김영삼은 시발의 대통령 상 수상 때 자신을 제외한 시발차회사 사장 최무성에 감정이 상한데다가 종업원들이 술집에 대통령상 트로피를 잡히고 술마시는데 격분했다...
2019-11-05
단명한 한국 최초의 스테이션 왜건 '뉴 시발'
단명한 한국 최초의 스테이션 왜건 '뉴 시발'
* 1957년 시발 왜건 우리나라에 스테이션 왜건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57년이다. 그것도 미국 등 자동차생산 선진국에서 도입한 것이 아니라 우리 손으로 만든 국산 왜건이었다. 한국 전쟁이 휴전으로 끝난 직후인 1954년 폐허로 변한 서울 을지로 입구에 천막공장을 세우고 미군용 폐차를 재생하여 민간용 차량으로 ..
2019-10-29
스테이션 왜건 - 유럽은 실리적인 소형, 미국은 크고 안락형으로 판가름
스테이션 왜건 - 유럽은 실리적인 소형, 미국은 크고 안락형으로 판가름
*1948년 시트로엥 2CV 스테이션 왜건이 일반화되기 시작한 것은 미국이 1930년대, 유럽은 1940년대 후반부터였다. 유럽의 스테이션왜건은 경제적인 중소형 스타일로 발전했다. 이유는 많은 중소 국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사는 협소한 대륙에 산악지형이 대부분이라 요트만큼이나 큰 미국의 스테이션왜건은 활개를 칠 수..
2019-10-22
2차 대전이 안겨 준 4륜구동 오프로드 스테이션 왜건 시대
2차 대전이 안겨 준 4륜구동 오프로드 스테이션 왜건 시대
*1946년 윌리스 오버랜드 왜건 스테이션 왜건을 전지형(全地形) 주파용으로 혁신시킨 것은 2차 세계대전이었다. 2차 세계대전은 속전속결의 전투로 그 주역을 담당한 것이 지프, 쓰리쿼터 등 4륜구동 군용차였다. 전쟁 중 4륜구동 차량의 전지형 주파능력에 사람들은 반했다. 이를 간파한 미국과 영국, 일본의..
2019-10-15
유럽 최초의 스테이션왜건은 롤스로이스 실버고스트
유럽 최초의 스테이션왜건은 롤스로이스 실버고스트
*2910년 엠뷸런스로 변한 프랑스 최초의 스테이션 왜건 1913년부터 포드를 선두로 미국에서 생산된 초기의 스테이션 왜건은 기존 승용차를 목제 차체로 바꾼 것이었다. 1차 대전 이후 세계는 점차 가족 중심의 사회로 변하면서 자동차도 가족과 필요한 수화물을 같이 실을 수 있는 가족형 차, 즉 미국에서 바람이 불기..
2019-10-08
초창기 포드가 독점한 스테이션 왜건
초창기 포드가 독점한 스테이션 왜건
*1910년 롤스로이스 실버고스트 왜건의 목제 차체 제조는 처음에는 차체 전문제작업체에 하청했지만 시간이 많이 걸렸다. 포드가 하청한 최초의 업체는 1919년 위스컨신주의 스타우턴 왜건회사(Stoughton Wagon Company) 였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다가 제작 단가마저 높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
2019-10-01
스테이션왜건의 시조는 파리에서 탄생
스테이션왜건의 시조는 파리에서 탄생
1896년 최초의 스테이션 왜건 파나르 르바소르 ‘스테이션왜건’이란 쿠션이 부드럽고 안락한 세단형 승용차와 짐을 운송하는 소형 화물차인 픽업트럭을 혼합한 차량이다. 미국에서는 이를 패밀리 카(Family Car)라 부르기도 한다. 철도 차, 또는 농장 차로도 불리는 스테이션 왜건은 객실과 화물칸으로 되어 있는 2..
2019-09-25
자동개폐식 컨버터블 하드 탑(Hard Top)의 역사
자동개폐식 컨버터블 하드 탑(Hard Top)의 역사
* 1919년 엘러백의 파워 톱 불편한 수동 접이식 천막지붕에서 나온 아이디어자동차의 자동개폐식 지붕의 시도는 이미 오래 전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시도했다. 때는 1919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자동차와 마차의 천막 지붕을 만들어 팔던 밴 앨러백(Ben P. Ellerbeck)은 그가 처음으로 거금을 주고..
2019-09-18
인류 최초로 발명된 초기의 자동차는 모두 벌거숭이
인류 최초로 발명된 초기의 자동차는 모두 벌거숭이
* 1894년 벤츠 2호 1886년 독일의 칼 벤츠와 고트리프 다임러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발명하여 정식으로 법적 특허를 받은 가솔린 자동차로부터 초기 자동차의 대부분은 지붕이나 측벽이 없고 의자만 덩그러니 얹힌 누드형 차량이었다. 이후 19세기 말부터 자동차 엔진이 강해지면서 속도가 빨라지자 외부 저항을 막..
2019-09-09
오픈카의 정식 명칭은 컨버터블(Convertible)과 카브리올레 (Cabriolet)
오픈카의 정식 명칭은 컨버터블(Convertible)과 카브리올레 (Cabriolet)
*19세기 전반 프랑스의 카브리올레 지붕이 없거나 지붕이 차속에 수납되어 있는 오픈카를 컨버터블(Convertible) 또는 카브리올레(Cabriolet)라 부른다. ‘컨버터블’이라는 용어는 지붕을 개폐 할 수 있는 자동차를 말하며, 오늘날 오픈카에 사용되는 공용어이다. 미국에서는 1933년 이전까지 오픈카를 로..
2019-09-02
우리나라 임금님과 대통령의 승용차는 처음부터 캐딜락 (하)
우리나라 임금님과 대통령의 승용차는 처음부터 캐딜락 (하)
*2915년 순종 어차 캐딜락 리무진 ◉ 우리나라에 본격적인 자동차시대를 개막시킨 순종과 의암의 캐딜락 고종에 이어 두 번째로 왕실에서 자가용을 탄 사람은 순종이었다. 왕실에서는 마지막 임금님인 순종황제를 빼놓을 수 없어 미국으로부터 1915년 V형8기통 엔진을 얹은 캐딜락 리무진 한 대를 들여와 타도록 했다. ..
2019-08-27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6
페이지
7
페이지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다음
맨끝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검색어
필수
인기
뉴스
1
[영상시승] 의외의 주행성, 포드 8세대 익스플로러
2
2020 유럽 올해의 차, 최종 후보 7개 차량 발표
3
메르세데스-벤츠의 신형 SUV GLB, 12월 유럽 출시
4
현대차 2025 전략 발표, 지능형 모빌리티 기업으로 거듭난다
5
[영상시승] 이젠 승용시장도 넘본다, 메르세데스-벤츠 3세대 스프린터
6
현대차와 손잡은 아우디, 수소연료전지에 집중한다
7
더 뉴 그랜저에 JBL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장착
8
국내 완성차 5사, 11월 판매 부진 지속... 그랜저 1위 탈환
9
재활용과 디자이너의 딜레마
10
메르세데스 벤츠 시타로 버스 5만 5,555번째 모델은 e시타로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 248 월헌회관 533호 ㅣ Tel : 070-8956-0647 ㅣ 광고담당자 민수정 차장(
minsj@global-autonews.com
)
E-mail : charleychae@global-autonews.com ㅣ 정기 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01110
발행 및 편집인 : 채영석 ㅣ 등록일 : 2010. 1. 25 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원선웅
Copyright © 2002 - 2019 글로벌오토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