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오토뉴스

상단배너

  • 검색
  • 시승기검색
ä ۷ιλƮ  ͼ  ī 󱳼 ڵδ ʱ ڵ 躴 ͽ ǽ ȣٱ Ÿ̾ Auto Journal  Productive Product
구상 교수는 기아자동차 디자인실에서 크레도스 책임디자이너를 역임했으며 기아자동차 북미디자인연구소 선임디자이너를 지내기도 한 자동차디자인 현장에서 잔뼈가 굵은 자동차 전문 디자이너입니다. 현재는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구상교수의 자동차 디자인 이야기는 독자여러분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입니다.

EV6의 페이스 리프트와 EV3의 디자인 보기

페이지 정보

글 : 구상(koosang@hongik.ac.kr) ㅣ 사진 : 구상(koosang@hongik.ac.kr)  
승인 2024-05-30 09:45:28

본문

3년만에 기아의 전기 동력 차량 EV6가 페이스 리프트 모델로 나왔습니다. 페이스 리프트 모델이나 신 모델이 나올 때마다 시간이 벌써 그렇게 지났구나 하는 생각이 들지만, EV6는 도로에서 자주 보이는 차가 아니어서 그런 것인지 더더욱 나온 지 얼마 안된 차가 바뀌는구나 하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그렇지만, 변화는 변화입니다. 새로 바뀐 EV6의 디자인을 마주 하면서 바뀌기 전의 디자인이 어떠했는지 얼른 떠오르지는 않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바뀌기 전의 사진과 비교해 보면 고개가 끄덕여지면서 정말로 바뀌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처음 나온 EV6를 마주했을 때는 예를 들어 현대 브랜드의 아이오닉 5에 비해서 전기차의 감성보다는 근육질의 엔진 동력 고성능 차량 같은 느낌이 들기도 했었습니다. 물론 전기 동력 차량은 모터의 특성 상 토크가 높고 가속도 잘 되므로 디자인 감성으로 근육질 조형을 쓰는 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그런 특성을 강조해야 맞을 지도 모를 일입니다.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그렇지만 전기 동력은 엔진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고 전자제어 장치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아서 전기 동력 차량을 디지털적 감성으로 해석한 디자인이 더 잘 어울리는 느낌이 있습니다. 그런 맥락에서 3년 전에 나왔던  EV6의 디자인은 같은 플랫폼으로 개발된 아이오닉5에 비해 오히려 아날로그적 감성이 더 강해 보이기도 했습니다. 물론 현대 브랜드의 아이오닉6는 아이오닉5에 비해 매우 곡선적이고 아날로그적 감성의 디자인으로 나오긴 했지만요…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아무튼 그렇게 3년이 지났고, 이제 더욱 더 디지털 감성으로 다듬어진 EV6가 우리들 눈 앞에 와 있습니다. 우선 눈에 띄는 변화는 크게 바뀐 앞 모습입니다. 그런데 주간주행등과 LED를 쓴 헤드램프를 분리해서 슬림한 주간주행등을 더 강조한 디자인이 낯설어보이지 않는 건 이제야 제대로 된 이미지를 찾아온 걸로 봐야 할지도 모릅니다.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오히려 바뀌기 전의 헤드램프를 보면 바뀔 만 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대개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이 이전 모델 대비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할 때도 있지만, EV6의 페이스 리프트의 새로운 디자인은 개선(改善), 즉 고쳐서 나아졌다고 하기에 성공한 걸로 보입니다.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그에 비해서 테일 램프의 변화는 크지 않아 보입니다. 물론 LED 내부의 패턴이 바뀌었지만, 전체적인 램프의 디자인 테마는 그대로 유지되었기 때문입니다. 슬림한 램프 그래픽이 독특한 인상을 주는데, 어딘가 도널드 덕 같은 만화 속의 캐릭터가 연상되는 표정이 있어서, 그 모습을 마주할 때마다 입 꼬리가 올라가게 됩니다. 물론 좋은 의미에서의 유쾌한 감성입니다.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인스트루먼트 패널도 한눈에는 별로 바뀐 게 없어 보이지만, 이전 모델과 비교해 보면, 사실상 바뀌지 않은 부분이 거의 없이 모두 새로운 부품으로 바뀌었습니다. 물론 센터 콘솔 부분은 거의 그대로 인 듯 하지만,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모두 바뀌었습니다. 스티어링 휠의 디자인도 디지털 감성을 강조한 이미지로 바뀌었습니다.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요즘의 차들은 스티어링 휠에 다양한 기능의 버튼을 달아 놓아서 운전 중에 센터 페시아나 콘솔 쪽으로 시선을 돌릴 일이 적어지는 건 바람직한 변화이기는 합니다.

물론 정작 센터 페시아 디스플레이에 터치 기능이 많아지는 건 가끔은 불편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물리적 버튼이 더 편리한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새로운 EV6는 전기차의 감성을 강조한 디자인으로 페이스 리프트 됐지만, SUV로서의 기능도 변함 없습니다. 해치백 구조이면서 공간의 활용성을 장점으로 가진 것은 물론이고, 성능을 높인 GT 라인 역시 페이스 리프트 모델로 나옵니다.

 

b85a96eb2ffc64b7079b849d38f7eb4c_1717029
 

그리고 곧 공개될 EV3는 소형 해치백 승용차와 유사한, 그렇지만 SUV의 성격을 가지면서 전기 동력 차량의 장점인 공간 활용성과 새로운 디지털 감성을 감각적으로 결합한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감을 주고 있습니다.

 

1980년대에 앞 바퀴 굴림 방식이 나오면서 그 기능적 효율과 공간 활용성의 장점으로 소형 승용차의 성능과 실용적 디자인의 개성이 활짝 피어났 듯이 전기 동력 차량 기술은 엔진 동력 차량들이 그동안 가지고 있던 구조적인 한계, 또는 성능이나 활용성의 한계를 크게 넓혀주면서 우리들이 더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자동차로 탈바꿈시킬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여전히 충전 효율성이나 화재의 안전성 같은 해결해야 할 부분이 남아있긴 하지만, 자동차의 활용성 이라는 새로운 영역이 기술의 발전을 더욱 요구할 것이기 때문에 길지 않은 시간 내에 저러한 문제는 해결의 방향을 보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 동력 차량은 분명히 자동차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기술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가 만나보는 EV6와, 앞으로 만나게 될 EV3는 그러한 새로운 기술의 자동차를 새로운 감성의 디자인으로 우리들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글 / 구상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교수)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하단배너
우측배너(위)
우측배너(아래)